본문 바로가기

main project

Idea farm - Residential space design

Fashion-base home studio - interior 2020 / 04 / 18

Site analysis  / thoughts / process

 

프로젝트에서 저는 토론토의 백레인을 활용하여 패션 디자이너의 집을 기초로한 스튜디오를 디자인하게 되었습니다. 작고 제한적인 공간에서 디자이너라는 사람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것은 힘든일이었습니다. 창조를 하기위해서는 많은것을 보고 느껴야하고 이것은 기본적으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죠. 문제를 해결하기에 앞서 저는 주변 환경조사를 제 1목표로 두었습니다.

 

Site context

먼저, 역사적인면에서 토론토 도시는 이민자들의 영향을 매우크게 받고 있습니다. 이는 19-20세기를 거쳐, 초중반 동유럽 사람들과 유대인들을 받고, 2차대전 이후로 본격적으로 중국인 러시아인 그외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을 받아드렸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역사에 근거해, 프로젝트가 진행될 Orphanage Mews 주변에서 정말 다양한 도시 인프라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19세기 고아원을 운영했던 이 작은 레인을 주변으로, 북으로는 예술 대학과, 미술관 그리고, 직물 박물관 등이 위치 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차이나 마켓과, 오랜 역사성을 가진 켄싱턴마켓이 있습니다. 그 반대로는 패션관련 시설들 (옷가게, 직물가계, 수선집) 등이 도시의 역사성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usage of surrounding environment 

이 이미지는 주변환경의 맥락을 보기 쉽게 Gis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리한 그래픽 이미지 입니다. 몇가지 특색을 꼽아보자면, 소비시장이 일반적인 거주지역보다 많이 있다는것, 또한 예술적 기관이 밀집되어있다는 것이었습니다. 

 

Precedents 

건축사무소가 많다는 것이 의외성으로 다가와, 조사를 나갔을때, 주변 건축물을 유심히 관찰해 보았습니다. 재미있게도 이 외지고 낡은 골목 주변으로 꽤 도전적인 건축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었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선례들을 관찰하고,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이 이미지에서 주목해 보았습니다.

 

street analysis - pro 

이 도시골목은 상당히 거친 매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외곽으로는 깔끔하고 정돈된 모습을 가지고 있었지만 안쪽으로 들어오니, 그래피티와 훼손된 도로등, 마치 켄싱턴 마켓과 비슷한 분위기를 주었습니다. 중간에 보이는 이미지를 보면 이 골목의 풍경으로 Ontario College of Art and Design University (OCADU)가 보입니다. 그래피티의 발생지가 짐작이 가는 재밌는 사진입니다. 

 

streeet analysis - con

마지막으로, 문제점등을 꼽아 보았습니다. 이렇게 훼손된 기초시설과 반달리스틱 한 그래피티는 어떻게 보면 양날의 검이 될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잘 이용하면,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기 매우 좋다는 생각을 하였고, 반대로 잘못 사용되면, 누구의 주목도 받지 못하는 공간이 될 것 같았습니다. 

 

Client / research / planning

 

클라이언트를 임의로 만들기 앞서, 저는 제가 클라이언트를 임의로 만드는것보다, 실제 존재하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렇게 클라이언트를 물색하다가 주변에서 소개를 받아, 현재 토론토에서 패션전문대학을 다니며, 빈티지 샵에서 일하시는 디자이너 견습생분과 함께 협업을 하기로 했습니다. 

 

interview note

이 인터뷰로 인해 그가 원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기반으로, 어떤공간을 조성해야 할지 정할수 있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의 물리적, 혹은 자금적 제한도 고려해야했습니다.

 

Customer's request 

1. Create a studio and a shop-based residential space

2. Uniqueness and impression to visitors

3. Easy access to nearby fashion-related facilities.

4. A space that mixed Western culture and Korean culture.

5. The space in the building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parts. : 1. Shop 2. Studio 3. Living space.

 

Project restriction

1. Use 100m^2 (including all levels you will design / surplus space can you as a garden)

2. Conside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요구와 기본적인 제약을 비교해 보았을때 가장 큰 난관은 요구에 비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이 너무나도 협소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만들어야 할 공간은 스튜디오를 기반으로 해야할 뿐더러, 패션에 관심이 있는 그의 몇몇 고객들도 충분히 소통의 장으로서 공간이 이용될 수 있어야 했으며, 또한 거주자의 특색에 맞추어 여러가지 모습을 보여주면서 좋은 아이디어를 창출해낼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 주어야 했습니다. 

 

공간 설계

이러한 요구사항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위해 저는 건축물을 여러 공간으로 쪼개기 보다, 모든 구역, 심지어 욕실까지도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시켰습니다. 공간에서의 관찰자의 시선에 따른 각도를 계산하여, 개인적인 공간은 자연스레 가릴수 있게하였고, 외부인이 있을때와 없을때의 두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같은 공간도 다른용도로 사용할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또한 협소한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고자, 정원을 내부로 끌어 들여 공간을 좀 더 넓게 쓸수 있게 하였습니다. (정원은 사용되는 공간으로 계산하지 않는다고 설명이 되어있어 가능했습니다.) 

 

About the garden

이 건축물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공간은 정원입니다. 설계적인 고민들, 만들어야하는 이상적인공간,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공간적인 철학까지 모두를 연결시켜주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1. Washroom.     2. Second floor.     3. Studio      4. Stair library

1. 먼저 설계적인 측면으로 보면, 이 정원의 의도는 내부에 정원을 만든것이 아닌 외부의 정원을 내부로 가져온것입니다. 즉, 잉여 공간을 내부로 결합시켜 더 넓은 공간을 창출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정원의 모양이 원형이기에, 정원이 알맞은 시간에 필요한 만큼의 햇볕을 의도된 공간에 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면 아침에는 햇볕은 생활공간으로 이동하여 하루의 시작을 자연스레 알립니다. 그리고 점심에는 정중앙에서 골고루 공간에 편안한 빛을 뿌리고, 저녁에는 스튜디오쪽으로 슬쩍 햇빛을 깔아줍니다. 가장중요한것은 정원 중앙에 위치한 변수에 있습니다. 나무를 뒀기에 일상에서는 빛에 소소한 변화를 가져오고, 계절적으로는 큰변화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같은 공간을 확연히 다르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이상적인 공간과 라이프 스타일의 관점에서 보면 이 정원은 정원으로서의 역할이상으로 모든 공간에서의 부속부품같은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2층에 생활공간에서는 멋진 풍경을, 1층 욕실에서는 탁트인 공간감과 사생활 보호, 그리고 스튜디오와 가든 주변으로는 항상 영감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활기를 불어 넣어줍니다. 

 

3. 공간적인 철학으로 볼때 저는 인간과 시공간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막스플랑크랩에서 진행된 실험에 따르면 인간은 무언가를 선택하기 최소 4초에서 10초전에 이미 뇌에서는 그 행동이 일어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저는 인간의 무의식과 의식은 별개로 존재하며 무의식은 시공간을 분석, 의식은 그것을 그대로 행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 우리의 뇌는 천성을 바탕으로 시공간을 자기멋대로 해석한다는 것이였습니다. 그렇게 관찰자(우리인간)은 여기서 마치 함수의 식처럼 행동하고 사고한다는 것입니다. 즉 시간과 공간은 이 인간함수에서 도입값의 역할을 합니다. 가장중요한것은 일반적으로 도입값의 변화폭이 높을수록 산출되는 사고와 행동이 더 다양해진다는 것입니다. 

 

본론으로 돌아와, 이러한 이유로 이 스튜디오는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쉽게말하자면 집안 어디에서나, 변수(화원)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화원의 자연적요소 (풀, 나무)등이 시간과 계절 혹은 물리적인 이유로서 집안에 다양한 변수를 뿌리고, 이것을 통해 스튜디오는 이 협소한 공간에서 가장 많은 가능성을 관찰자에게 제시합니다. 

 

https://youtu.be/5Lxpo72mjxc

 

 

 

 

 

 

 

 

'main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ret War - Pavilion  (1) 2023.01.05
Redesign Ocadu  (0) 2023.01.05
Meditation Space (Buddhism)  (0) 2023.01.05
조각보 彫刻褓  (0) 2020.07.08
Momentary - pavilion design  (0) 2020.07.08